유아 존중 사상
인격 존중, 개별지도, 개인차 인정으로 요약된다.
M.S의 관찰을 통한 발견
반복 작업, 질서를 사랑함, 자유 선택 활동에의 욕구, 노는 것(play)보다 일(work)을 좋아함. 상벌의 불필요성, 침묵을 좋아함, 개인 존중의 자각, 쓰는 것에 대한 폭발적 흥미, 읽기에 대한 흥미, 자발적인 자기 훈련, 우주의 법칙.
유아에게 있어 정신적인 활동의 원천이 되는 것은 환경의 요구를 받아들여 의지의 뜻대로 육체를 육성해 가는 과정인 육체 화(incarnation)이다. 이는 정신적으로 강력한 에너지이며 M.S는 이를 홀-메(Horme)라고 하였다. Horme은 유아에게 열심히나 행복이라는 생명의 기쁨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유아는 선천적으로 민감성, 흡수적인, 자율성을 가지고 태어나며 단계마다 특성을 가진다.
민감기(Sensitive period)
민감기라고 하는 말은 19C 독일의 생물학자 Hugo Do Vries가 동물의 발육에 관하여 연구하는 과정에서 생물학에서만 사용되었던 것으로, 교육학이나 심리학에서는 사용하지 않다가 후에 몬테소리가 인간의 발달 과정에 적응시켜 교육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다.
민감기란 모든 생물은 어린 시기에 그 생물 고유의 능력을 갖추기 위해 환경 속의 특정한 요소에 대해 특별히 민감한 감수성이 일정한 기간에 나타나는 시기를 말한다.
몬테소리는 곤충의 일생 중에 변용이 나타나는 나비의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나비는 주로 나무줄기가 가지로 갈라지는 잘 보이지 않는 구석지고 침침한 곳이나 고목나무의 움푹 팬 곳, 나무껍질 속에 알을 낳는다. 왜냐하면 그곳이 바람과 비에 안전한 곳이기 때문이다.
얼마 후에 그 알에서 아주 작은 유충이 깨어나게 된다. 유충의 입은 작고 보드라워서 나뭇가지 끝의 제일 앞에 이제 막 겨우 싹튼 새싹만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부드러운 새싹 앞에 이제 막 겨우 싹튼 새싹만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부드러운 새싹을 먹기 위해서는 당연히 멀리 있는 나뭇가지의 끝까지 가야만 한다. De Vries가 발견한 것은,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나뭇가지의 빛에 대한 특수한 감수성(Sensebility)이 있기 때문에 불가항력적인 충동에 따라서 밝은 빛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뭇가지의 맨 끝까지 가서 여리고 부드러운 잎사귀를 먹게 되는 것이다. 그 새싹을 먹고 애벌레는 자라게 된다.
얼마 후 애벌레는 크고 건강하게 자라면서 빛에 대한 감수성은 잃어버리게 되어, 나무에 여기저기를 다니며 억센 잎사귀를 먹어서 영양을 공급받을 수 있는 강한 턱을 받게 된다.
결국 빛에 대한 감수성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민감기란 생물의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감수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생물이 그 시기에 필요한 것을 획득하기 위하여 환경 속의 특정한 요소에 대해 특별히 민감한 감수성이 일정한 기간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시기는 나타났다가 사라지곤 한다. 생물학적으로 보면, 민감 이기는 특정한 기능을 익힌다던가 또는 그 기능의 성격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시기로 본다.
이러한 목적이 이루어지게 되는 이전과는 다른 또 하나의 감성으로 바뀌어져 이전의 감수성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민감키가 지속한다는 것은 감성이 존재하고 있을 때만으로 한정되어 있다.
흡수 정신
흡수 정신이란 유아의 정신을 흡수하는 정신으로 정의되며 유아가 내부에 잠재해 있는 흡수하는 정신능력을 정신 능력으로 환경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경험하여 배우게 되는 유아의 특성을 말한다.
이는 민감이기에 나타나는 내적(內的) 감응성(感應性: inner sensibility)의 인도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지 자발적 노력(Voluntary effort)으로 설정되는 것은 아니다.
Montessori는 무의식적으로 환경을 흡수하는 이 과정을 통해 유아는 자기의 심리적 생활 속으로 지식을 구체화한다고 하였고, 환경에 대한 인상은 단순히 마음속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고 이것을 구성하고 스스로 동화된다고 하였다.
흡수 정신은 6세까지 지속되며 무의식 단계와 의식 단계로 구분한다.
①무의식적 단계 (unconscious mind)
0~3세의 시기이며 가능한 한 모든 인상들을 무의식적으로 흡수한다. 의지와 무관하며 능동적으로 나타난다. 모방, 운동, 손끝의 조작 등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신을 개발시킨다.
②의식적 단계(conscious mind)
3~6세의 시기이며 인간, 환경, 교구와의 계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의식적으로 경험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며 필요한 자극을 많이 요구하게 된다.
자율성
Montessori는 유아를 '독립적 인격', '창조적 정신'을 가진 존재로 보았는데 이는 자유에 대한 사상의 토대라고 볼 수 있다. 어린이들의 행동이 자유로워지는 방법은 그들의 자유로운 행동과 자기들의 행동을 통하여 삶의 완성 내지는 존재가 완성하는 것으로 서로 다양한 형태의 한 개인의 모습으로 완성된다. 사람들은 서로가 각각 다르고 그 개인적인 특성으로 인해, 자연적인 예술품을 만드는 독자적인 창조 정신이 살아있다는 것이다.
Montessori의 사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독립은 유아가 누구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기 스스로 독립적으로 어떤 행위를 이루려고 하는 자기 신뢰감의 습득이며, 자율성의 발달을 의미하는 형성적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독립은 정지상태가 아니라, 계속 이루어 가는 극복으로 그것은 자유뿐만 아니라 힘(fora)에 도달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몬테소리의 교육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관, 교사관 (0) | 2024.10.14 |
---|